ETF란? ETF 투자하는 방법

 

 

코스피지수가 3000선까지 밀렸지만, 개인투자자들은 선뜻 주식 투자에 나서기가 쉽지 않습니다. 외국인, 기관투자자 투매가 이어지는 하락장에서 종목의 투자 난이도가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대신 주식과 펀드가 조화를 이루는 상장지수펀드 바로 ETF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저도 마찬가지로 이 ETF를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ETF란 어떤 것인지 알아보고, ETF를 직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을 쉽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TF란

ETF란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 뜻은 상장지수펀드입니다. 주가, 업종, 원자재 등 특정 주가지수의 움직임에 따라서 수익이 나도록 만들어진 펀드를 의미합니다. ETF란 펀드지만 증시에 상장되어 1주씩 나누어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별 종목에 투자하는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손쉽게 투자가 가능하며 거래 수수료도 저렴한 것이 특징입니다.

 

8월23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8일 기준 국내 증시에 상장된 ETF는 총 500개로 집계됐습니다. 16개 회사에서 ETF를 출시했고 설정규모는 61조 7497억 원입니다. 연초 52조 3145억과 비교하면 18% 넘게 그 규모를 키운 셈입니다. 

 

ETF는 증권사가 만든 상품이 아니며 자산운용사가 만든 상품입니다. KODEX는 삼성자산운용사가 만든 ETF상품이며, TIGER는 미래에셋자산운용사가 만든 ETF 상품입니다. 

 

 

ETF 수수료

ETF의 운용보수비는 0.2% 정도로 펀드보다 저렴하며 주식과 같이 매도하게 되면 이틀 뒤에 현금을 입금받게 됩니다. 주식은 거래 시 0.25%의 거래세가 부과되는데 ETF는 거래세가 없습니다. 대신 주식형 ETF를 제외한 채권형 ETF, 해외지수 ETF, 파생형 ETF 등의 상품은 매매차익에 대해 배당소득세 15.4%의 세금은 내야 합니다. 주식형 ETF는 매매차익에 대해서는 비과세지만 매매차익이 생긴 다음 연도에 금융소득 종합과세에 포함됩니다. 

 

 

ETF 투자방법(미래에셋증권)

ETF란 인덱스 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들어놓은 상품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ETF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증권사를 통해서 거래를 시작해야합니다. 저는 여러 가지 증권사 어플을 사용하고 있는데 가장 간단하게 미래에셋증권으로 ETF를 거래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미래에셋 M.stock 어플을 들어갑니다.

 

 

2. 미래에셋증권 어플에서 메뉴 - 주식 - ETF 정보

 

3. ETF 정보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게 되는데, 여기서 돋보기 모양을 눌러 검색창에 들어갑니다.

 

4. ETF 검색에 들어가면 주식 - ETF로 설정이 되어있는데 여기서 운용사와 테마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ETF 종목 이름 앞에는 자산운용회사의 이름이 붙게 되는데, 앞서 이야기했듯 국내에서 ETF를 운용하는 운용사는 16개삼성자산 운용의 KODEX,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가 순자산과 종목 수에서 가장 앞서있기 때문에 이 운용사의 거래가 가장 활발합니다. 뒤를 이어 KB자산운용의 KBSTAR, 한화자산운용의 ARIRANG, 한국투자신탁운용의 KINDEX, 키움투자자산운용의 KOSEF 등이 있습니다. 

5. 운용사를 선택한 뒤 여러 가지 테마를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6. 개인연금으로만 매수할 수 있는 EFT 종목들도 따로 체크하여 검색할 수도 있습니다. 

 

7. 위와 같은 방법으로 ETF 운용사와 테마, 그리고 개인연금이 가능한지 본인의 선택에 따라 상품을 선택한 뒤 ETF의 유형과 거래정보 수익률 등을 파악하여 원하는 상품을 매수하면 됩니다. 

 

 

위의 방법은 단순히 ETF를 어떻게 매수하는지에 대한 설명이기 때문에 종목과 상품에 대한 추천이 아닙니다. 참고하셔서 좋은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 

 

 

 

▼▼▼ 함께 읽으면 도움 되는 글 ▼▼▼

 

연금저축펀드 장점, IRP 비교 총정리

요새 주식과 펀드를 안하고 있는 사람을 찾기 어려울 만큼 재테크와 노후 대비등의 이슈가 굉장히 큽니다. 저도 역시 주식과 펀드를 조금씩 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연금저축펀드의 기본적인 개

yellowfreesia.com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