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백신예약 방법, 시간과 백신종류는?
- 카테고리 없음
- 2021. 7. 19. 22:52
전국적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점점 늘어 수도권은 사회적거리두기 4단계까지 적용되고있다. 더운 여름에는 코로나 환자가 줄어들것으로 예상했지만 델타변이의 확산속도가 실로 어마어마하다. 델타변이는 '스쳐지나 가도 걸린다'는 말이 있는 것 처럼 그 확산세가 잡히지 않고 있는 모양새다. 일 확진자가 1천2백명을 넘나들고 있는 상황에서 이제 코로나 예방 백신은 선택하는 것이 아닌 되는대로 맞아야 하는 상황이다.
50대 백신 접종 종류는?
백신 예방접종은 현재 고령자와 요양시설 등지의 고위험군과, 사회 필수인원들의 접종이 이루어졌고, 70대, 60대를 지나 50대의 예방접종 예약을 받고 있다. 현재 정부는 모더나 공급문량 2,000만 명분 백신 물량을 계약했다고 알려져있다. 50대 연령의 백신 접종 대상 규모는 약 74만명 정도로 예상되고 백신 예약자들은 모더나 백신을 접종하게 된다고 알려져있으나 물량에 따라 화이자를 접종하게 될 수도 있다고 한다.
모더나 백신은 화이자 백신과 같이 바이러스 항원 유전자를 RNA 형태로 주입하는 방식으로 항체를 행성하게 된다. 모더나는 영하 20℃에서 6개월 보관이 가능하며 영상 2~8℃에서는 30일간 보관할 수 있다. 화이자 백신보다 상대적으로 보관이 더 쉬운편이다.
모더나 백신은 4주간격으로 2회 접종해야 접종이 완료되며 임상실험 결과 약 94%의 예방효과를 확인했다고 알려져있다. 모든 연령과 기저질환 유무에 상관없이 86% 이상의 예방 접종효과를 나타낸다고한다.
50대 백신 예약 날짜
♣ 55세~59세(62~66년생) : 2021년 7월 12일 (월) 0시 ~ 7월17일(토) 18시
접종기간 : 7월26일(월) ~ 8월14일(토)
♣ 53세~54세(67~68년생) : 2021년 7월 19일 (월) 20시 ~ 7월 20일(화) 18시
2021년 7월 21(수) 20시 ~ 7월24(토) 18시
접종기간 : 8월16일(월) ~ 8월28일(토)
♣ 50세~52세(69~71년생) : 2021년 7월 20일 (화) 20시 ~ 7월 24일(토) 18시
2021년 7월 21(수) 20시 ~ 7월24(토) 18시
접종기간 : 8월16일(월) ~ 8월28일(토)
50세~54세는 날짜와 시간을 분산하여 예약접수를 받는다고 하니 예약 날짜와 시간을 정확하게 확인해야 한다. 또한 50~54세의 백신 접종 일정은 백신 입항 일정으로 고려하여 다소 지연될 수 있다고 한다.
50대 백신 예약 방법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은 '코로나 예방접종 사전예약 시스템'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시스템
코로나19 접종예약 준비중 입니다.잠시후 7월 19일 20시 부터 예약이 시작됩니다. <55 ~ 59세 연령층(1962.1.1.~1966.12.31. 출생)> ○ (예약기간) 7.14.(수) 20시 ~ 7.24.(토) 18시 * 예방접종센터 예약은 7.21.(
ncvr.kdca.go.kr
접속자가 많아 접속대기 메세지가 계속 뜨며 오류가 나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에 사람이 몰리는 시간을 피하거나 기다려야한다.
50대 코로나 백신 사전예약을 하기 위해서는 휴대폰이나 또는 공인인증서로 본인인증을 하게 되기 때문에 본인 명의로 된 휴대폰이나 공인인증서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인 인증 후 휴대폰 번호와 의료기관, 예약 일시를 선택하고 예약버튼을 누르면 예약이 진행되는데, 예약이 완료되면 휴대폰으로 예약 정보가 전송된다.
모더나 백신 부작용
모더나 백신 부작용은 청소년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 화이자, 모더나와 같은 mRNA 백신을 접종한 남자 청소년의 심근염, 심낭염 발생률이 높다는 결과가 나와 미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백신 제품 정보에 경고문구를 추가하기로 했다고 한다.
모더나, 화이자 백신의 대표적으로 겪는 부작용은 근육통과 오한, 발열 증상이다. 이는 접종 후 12~24시간 이내에 보통 나타나고 면역력을 구축하고 있다는 신호이니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나이가 들수록 면역 반응이 약하기 때문에 젊은 사람일 수록 백신 접종 후 근육통과 오한, 발열 같은 증상이 더 많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때에는 타이레놀과 같은 아세트 아미노펜 계열의 진통제를 먹으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